현대 사회에서 40대는 ‘낀 세대’라 불린다. 베이비부머 세대와의 갈등, MZ세대의 등장으로 40대는 전전긍긍하고 있다. 회사 내에서도 30대 인재들의 급부상으로 40대는 점차 밀려나는 실정이다. 대기업들의 인사정책을 보면 30대, 40대 중용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40대가 회사에서 마지노선이 되어감을 의미한다. 열심히 일해도 신선함과 새로운 역량에 밀리고 있는 것이다. 40대 이상은 구식 인력으로 퇴출 대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환경에서 40대는 회사에 대한 불안감과 좌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 자녀 교육비, 노후 준비, 부모 부양 등의 경제적 부담도 있어 안정적인 수입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런지 40대는 부동산, 주식 등 부수입 창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가정과 회사에 충성해 온 40대들이 갑작스레 직장을 잃을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다.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이를 직시하고 준비해야 한다.
요즘 40대 직장인들은 ‘회사는 결코 개인을 지켜주지 않는다’는 씁쓸한 공식을 체득하고 있다. 이유 없이 퇴직하는 임원들을 보면 이를 실감할 수 있다. 임원 출신이어도 재입사는 거의 불가능하다. 불과 2~3년 전 임원이었다가 실적 부진 등의 이유로 퇴직하면 평사원으로도 복귀하기 힘들다. 최근에는 윗선 임원이 아랫사람을 희생시키고 책임을 전가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어 직장인들의 힘겨움이 가중되고 있다.
40대 기술자라면 30대 후반까지는 이직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40대 중반 이후에는 이직 시 면접에서 이직 사유를 캐묻는 등 이직 자체를 경계한다. 기술력이 없는 일반 스탭의 경우에는 이직이 더욱 어렵다.
그렇다고 주저앉아서는 안 된다. 우선 자신의 경쟁력을 냉철히 점검해야 한다. 링크드인, 잡코리아 등 구인구직 플랫폼을 통해 본인의 시장가치를 가늠해보고, 전문 컨설팅 업체의 평가를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경쟁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새로운 무기를 준비해야 한다. 자격증 취득, 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 등 전문 기술 습득, 영어 실력 배양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이 있다. 10년 후가 되면 10년 전을 후회할 뿐이다. 지금이야말로 미래를 준비할 적기인 셈이다. 회사에 전념하던 시간의 40% 정도는 자기계발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하다. 온라인 강의, 세미나, 스터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볼 수 있겠다.
퇴사 후에는 회사에서의 인맥과 배경이 사라져 공허할 수 있다. 자격증과 전문성이 없다면 무기력해질 수밖에 없다. 일과 회식으로 보내던 허송세월을 새로운 기회 포착과 경력 개발에 활용해야 한다.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기회를 포착하고 끊임없이 학습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만약 회사에서는 손님으로 대접받다가 퇴사 후 바쁘게 사업을 운영해야 한다면, 삶의 질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부업으로 치킨집, 카페를 운영하는 것보다는 여가시간에 방문객으로 가는 편이 행복할 수 있다.
향후 대기업은 정규직 인력을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필요한 업무를 프리랜서에 아웃소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전문성과 틈새 역량을 두루 갖춘 이들이 승자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회사생활을 버티며 동시에 제2의 전문가로 거듭날 길을 모색해야 한다.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잠재력을 계발하거나 창업 아이템을 검토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긍정적으로 본다면 10년, 부정적으로 본다면 5년 안에 해결해야 할 과제다. 아무리 회사를 사랑하고 충성해도 그곳은 결국 ‘나의 회사’는 아니라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개인의 전문성과 가치를 스스로 증진시켜 나가는 게 관건이다. 자기계발의 시간을 가진다면 40대는 인생의 재도약을 준비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